4. Docker 볼륨
·
Docker
컨테이너를 생성 후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컨테이너 안에는 설정정보, 데이터 등 여러가지 데이터가 쌓이게 된다.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그동안 운영되면서 쌓인 정보들 역시 같이 삭제된다. 이전 포스팅을 보면 rm 명령어로 간단하게 컨테이너가 삭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삭제된 정보들은 복구가 불가능하다. 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Docker 볼륨이라는 개념이 중요하게 작용한다.  Docker 볼륨은 디렉터리간의 동기화가 가능하게 하고 컨테이너 내부에 있는 데이터를 외부에 공유하여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.1. 호스트와 볼륨 공유sudo docker run -d \--name wordpressSql \-e MYSQL_ROOT_PASSWORD=password \-e MYSQL_DATABASE=wordp..
3. Docker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
·
Docker
1. 컨테이너 네트워크 바인딩컨테이너 역시 가상 IP주소를 할당받는다.attach를 통해 컨테이너 내부에 접속 후 ifconfig를 입력하면 컨테이너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.도커의 NAT IP 172.17.0.2를 할당받은 eth0 인터페이스와 로컬 호스트인 IO 인터페이스가 있다.지금 현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컨테이너에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호스트에서만 도커 컨테이너에 접근 가능하다.sudo docker run -i -t --name portexample -p 80:80 ubuntu:14.04따라서 컨테이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eth0의 IP와 포트를 호스트의 IP와 포트에 바인딩해야 한다.sudo docker run -i -t -p 10042:80 -p 192.168.0.300-p ..
2. Docker 엔진
·
Docker
ocker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'이미지'와 '컨테이너'이다. 1. 이미지처음 ubuntu를 VM에 설치할 때 iso파일을 이용하여 OS를 설치한것과 비슷한 개념이다.Docker 명령어를 통해 이미지를 다운받을 수 있다.이미지의 이름은 "저장소 이름/이미지 이름:태그"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. 2. 컨테이너OS, DB, 웹서버 등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생성하게 되면 독립된 공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룰 수 있다. 생성된 컨테이너는 독립되어 있으므로 서로 영향을 안받는 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.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삭제 시 다른 컨테이너와 호스트의 변화는 없다. 3. 컨테이너 실행1) container 생성sudo docker run -i -t ubuntu:14.04해당 명령어..
1. Docker
·
Docker
Docker Container기존 가상화 기술은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한 여러개의 OS를 하나의 호스트에서 생성 후 사용하는 방식이었다. Guest OS는 하이버바이저에 의해 생성 및 관리되는 OS를 의미하는데 완전히 독립된 공간과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 것이 다른 OS들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 독립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존 가상화 기술의 사용을 지양하는 이유는 바로 "성능"이다. 각각의 시스템을 가상화하고 독립된 공간을 사용하는 과정은 하이버바이저를 반드시 거치기 때문에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. 또한 이미지에 여러 라이브러리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엄청난 크기의 이미지를 서비스로 배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. 여기서 짐작할 수 있듯 Docker는 컨테이너라는 가상 공간을 생성할 때 lin..
0.Docker 설치
·
Docker
sudo apt-get update​ 이름버전OSUbuntu20.04.6VMOracle VM VirtualBox7.0.18ContainerDocker27.0.2 1. 커널 버전 확인uname -r호스트 OS가 최소 3.10버전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여 자신의 버전을 확인한다.나의 경우 5.4.0-187-generic을 사용하고 있다. 2. gpg키 추가curl -fsSL https://download.docker.com/linux/ubuntu/gpg | sudo apt-key add - 3. Docker의 공식 apt 저장소를 추가sudo add-apt-repository "deb [arch=amd64] https://download.docker.com/linux/ubuntu $(l..
2-2 React Element의 특징
·
React
불변성Element 생성 후에는 Children이나 attributes를 바꿀 수 없다.한번 생성된 후에는 변경이 불가능하다.따라서 변경을 하고 싶다면 새로운 element를 생성 후 변경 후 바꿔야 한다. Elements 렌더링 하기element를 생성 후 보여주기 위해서는 렌더링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.const element = 안녕, 리엑트!ReactDOM.render(element, document.getElementById('root'));element를 생성 후 root div에 렌더링하는 과정 렌더링된 Elements  업데이트 하기function tick() { const elements =( 안녕, 리엑트! 현재 시간: {ne..
BE전문가 프로젝트
BE전문가 프로젝트